주식 (*경제적 자유)4 적정 PBR 구하기 및 매수 구간 잡기 1. 적정 PBR 구하기. (단, ROE가 꾸준한 기업에 잘 맞는 방법임.) 적정 PBR = ROE / (COE- g) ROE : 자기자본이익률, Return of Equity 본인이 ROE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계산 값이 다름. 즉, 과거 1년치를 활용할 수 도 있고, 과거 3개년의 평균값을 ROE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의미. COE : 자기자본비용(=할인율), Cost of Equity COE = 국고채 3년 금리 +위험프리미엄(소비자 물가 상승률,인플레이션) g : 성장률 : 2~3%(보수적으로 계산하려면 0으로 잡으면 됨) → 즉, 적정PBR = ROE / (국고채 3년금리 +소비자 물가 상승률 - 영구성장률) 2. 적정 주가 구하기. (단 ROE가 꾸준한 기업에 잘 맞는 방법임) 적정주가= 적정.. 2024. 3. 3. 보호예수 확인 1. 보호예수란? 공모후 유통가능 물량으로써 풀리는 매각 제한 기간이 지나면 물량이 풀림으로 주식의 하락 영향이 생길 수 있음. 2. 보호예수 확인. 방법1. 한국예탁결제원= (매월 마지막날 쯤 다음달꺼 보호예수 풀리는 날짜 자료 올라옴) : 많이 풀리면 안좋음 (주가하락) KSD소개 ->KSD소식 ->보도자료 -> 글선택: ‘의무뵤유등록 해제’ 방법2. 전자공시(DART) 기업검색 -> 기간1년 -> 상세조건: 보고서명 : 증권발행실적. (클릭)-> 2.청약 및 배정에 관한 사항 -> 5. 기관투자자 의무보유확약기간별 배정현황 방법3. 전자공시(DART) 기업검색 ->기간1년 ->상세조건:보고서명: 투자설명서. (클릭). -> 3. 투자위험요소 ->검색: ‘유통가능’ 입력 2024. 3. 3. 공모주 투자하기 1. 전자공시 사이트 원하는 회사 검색 '투자설명서' 클릭. '사업의 내용 → 사업의 개요' 정독 '인수인의 의견(분석기관의 평가의견)' 정독 2. 38커뮤니케이션 사이트 '기관 수요예측 경쟁률' 확인 1000:1 이상인 것으로 하자 (글쓴이 기준) '의무보유확인비율' 확인 10% 이상인 기업들이 수익 거의 남. (10~30% → 수익률 +71%) (30% 이상 → 수익률 +99%) '유통가능 물량' 확인 (=보호예수) 상장하자마자 유통해버리면 주식 하락함.. 20% 이하면 좋음 30% 이상은 좀 많은 것. 공모가 밴드 의 가격을 넘어버리면 좋음 시초가에 팔자. (웬만한 것들은 다 떨어짐) 2024. 3. 2. 주식 용어 정리 1. 용어정리 ROE(%) - 자기자본 이익률, Return on Equity 정의 : 기업이 주주에게 제공하는 이익의 효과를 측정하는 지표로, 기업의 순이익을 자본총계(자기자본)으로 나눈 값. 계산 : ROE(%)= (순이익/자본총계)*100 해석 : 높은 ROE는 기업의 효율적으로 자본을 활용하고 주주에게 높은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함. 쉽게 생각하면 내가 갖고 있는 돈(순자산)으로 얼마(자본총계)를 벌었냐 PBR - 주가순자산비율, Price to Book Ratio 정의 : PBR는 주가를 기업의 순자산에 대한 비율로 나타낸 지표로, 기업의 가치가 주가에 얼마나 비해있는지를 나타냄. 계산 : PBR= 주가/주당순자산가치 , PBR = 시가총액/순자산(=자본총계) 해석 : PBR이 1보다.. 2024. 2. 29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