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적정 PBR 구하기. (단, ROE가 꾸준한 기업에 잘 맞는 방법임.)
- 적정 PBR = ROE / (COE- g)
- ROE : 자기자본이익률, Return of Equity
- 본인이 ROE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계산 값이 다름. 즉, 과거 1년치를 활용할 수 도 있고, 과거 3개년의 평균값을 ROE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의미.
- COE : 자기자본비용(=할인율), Cost of Equity
- COE = 국고채 3년 금리 +위험프리미엄(소비자 물가 상승률,인플레이션)
- g : 성장률 : 2~3%(보수적으로 계산하려면 0으로 잡으면 됨)
- ROE : 자기자본이익률, Return of Equity
→ 즉, 적정PBR = ROE / (국고채 3년금리 +소비자 물가 상승률 - 영구성장률)
2. 적정 주가 구하기. (단 ROE가 꾸준한 기업에 잘 맞는 방법임)
- 적정주가= 적정 PBR * BPS
- BPS(주당순자산가치) 값은, 목표하는 해 추정치를 계산식의 값에 넣기. (BPS값 네이버페이 증권에 나와있음)
→ 해석 및 마인드 : 지금주가랑 비교해서 싼지 비싼지를 보는것, 저 가격을 간다 안간다 보는게 아님.
3. PBR밴드를 활용한 매수구간 잡기.
- 적정주가 = PBR밴드범위 * BPS(목표하는 해 추정치 값)
- '버틀러' 사이트 + '상장기업분석(Fnguide)'사이트 활용
- 각각의 사이트에서 최하단의 PBR밴드(적정PBR) 사이에서 적정주가를 구하여 분할매수함.
- PBR 밴드 범위 : (PBR표) 둘중에 가장 작고, 가장 큰 값 사이
- PBR 밴드 하단 : (PBR표) 둘다 최하단 값의 사이
- PBR 밴드 중간 : (PBR표) 둘다 중앙값(가운데)의 사이
- 각각의 사이트에서 최하단의 PBR밴드(적정PBR) 사이에서 적정주가를 구하여 분할매수함.
- '버틀러' 사이트 + '상장기업분석(Fnguide)'사이트 활용
'주식 (*경제적 자유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보호예수 확인 (0) | 2024.03.03 |
---|---|
공모주 투자하기 (0) | 2024.03.02 |
주식 용어 정리 (0) | 2024.02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