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부중에 모르는 라이브러리 나오면 업뎃중(20.01.14)
추가-최대한 비슷한 역할군 끼리 모으는 중.
● replace() 함수
형태 : 문자열.replace("검색할 문자","치환할 문자",치환횟수)
검색할문자 : 공백을 제거하고 싶으면 "" 표시하면 됨
치환할문자 : 공백으로 치환하고 싶으면 "" 표시하면 됨
치환횟수 : 생략시 ->검색된 모든 문자를 치환함
new_id=input(" 아이디를 입력해주세요.")
delete = "~!@#$%^&*()=+[{]}:?,<>/"
for i in range(len(delete)):
new_id =new_id.replace(delete[i],"") #delete에 있는 모든 문자를 공백으로 치환함
print(new_id)
● strip() 함수
● 구분자.join() 함수
->join 함수는 매개변수로 들어온 리스트에 있는 요소 하나하나를 합쳐서
하나의 문자열로 바꾸어 반환하는 함수임
-> ''.join(리스트) : 매개변수로 들어온 리스트를 합쳐서 반환해줌(구분자=공백)
-> '_'.join(리스트) : 매개변수로 들어온 리스트 사이사이에 _가 추가됨
주의) 리스트가 문자열로 들어와야 함
a=['1','2','3','4','5'] # 리스트에 문자열로 들어와야함
b=''.join(a)
c='A'.join(a)
print(b)
12345
print(c)
1A2A3A4A5
● 출력문의 옵션
sep='' -> 문자열의 사이사이에 넣어주고 싶은 문자 및 기능
('공백' 으로 할 경우 띄어쓰기가 됨, ''으로(공백없음)할 경우 문자가 다 붙어서 출력됨)
end='' -> 문자열의 마지막에 넣어주고 싶은 문자 및 기능
print("A","B","C","D","E")
A B C D E
print("A","B","C","D","E",sep="추가됨")
A추가됨B추가됨C추가됨D추가됨E
print("A","B","C","D","E",sep='\n')
A
B
C
D
E
print("A","B","C","D","E",end='마지막 추가됨)
A B C D E마지막 추가됨
● count() 함수
(2022.01.30)
->문자열안에서 찾고 싶은 요소의 개수를 찾을수 있다.
syntax) 변수.count(찾는요소)
k='acmvmwdalkn'.count('a')
print(k)
출력 :2
----------리스트에서 찾기-----------
a = [1, 1, 1, 2, 3]
a.count(1)
출력 : 3
● set() 함수
(2022.02.04)
-> 중복을 제거해준다, 순서가 없다.
s1 = set([1,2,2,3]) #리스트는 순서가 일정하게 출력됨,중복은 제거됨
print(s1)
{1,2,3}
s1 = set([1,2,3])
print(s1)
{1,2,3}
s2 = set("Hello")
print(s2)
{'o', 'l', 'e', 'H'} #문자열은 순서가 일정하지 않게 출력이 됨.
{'l', 'e', 'H', 'o'}